플랫폼이란?
- 양면시장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사업모델
생산자 <-> 소비자
두 개의 시장을 대상으로 하여 지식과 정보, 미디어, 유통이란 분야에 새로운 사업모델 도입
양면시장 지향
경쟁은 없고 협업만이 존재 (경쟁자 X 경쟁자마저도 소비자로)
양면시장을 지향한다는 것은 플랫폼 운영자가 생산자나 소비자로 참여하지 않아야 한다
플랫폼 운영자는 플랫폼이 잘 운영되도록 원칙을 정하고 도구를 제공할 뿐 직접 참여 X
플랫폼의 핵심성과지표는 매출이나 이익 X
검색이 잘 된다, 회원들 간의 소통이 원활, 거래가 편리해지는 등의 플랫폼 지향의 가치에 집중하는 접근만이 유효
플랫폼을 설계하는 방법
1. 양면구조 설계
플랫폼의 활용을 통하여 양쪽 시장이 모두 새로운 가치를 얻어야 함
2. 도구를 무엇으로 할 것인가
ex. 애플리케이션, 웹 서비스 내부 멤버십, 실물 인프라 등
플랫폼을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기능들
ex. 생산자가 더 쉽게 물건을 팔 수 있게끔 물류 보관 서비스, 소비자가 배송비 없게 살 수 있게끔 배송비 무료 서비스 등
구글 - 검색엔진 기술 도구
아마존 - FBA, 아마존 프라임
양면 시장 모두에게 매력적이어야 유효함
3. 모두가 인정하는 원칙 수립
구글 - 공정성 (오직 검색에만 초점을 맞추고, 공정하며 정확한 검색 결과를 주겠다는 가치)
검색결과를 조작하거나, 만들어내는 등의 조작 불가능한 메인 페이지 구성
페이스북 - 개입 없는 자유로움
수수료의 정당성을 부여해야 양쪽 시장으로부터 반발이 없음
4. 플랫폼은 개방되어야 한다
플랫폼은 양면 시장을 지향하면서 더불어 그 시장 참여에 제한을 가하지 않음
공급자 시장도, 소비자 시장도 참여에 있어서 제한을 가하지 않는다는 의미
5. 플랫폼 간의 경쟁에서 중요한 것
네트워크 효과! - 네트워크가 커져감에 따라 네트워크의 가치가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플랫폼 경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누가 가장 빠르게 전체 시장을 장악하느냐에 있다.
그 규모의 경쟁에 있어서 반드시 기억해야 하는 것이 네트워크 효과인데 플랫폼 간의 경쟁에서 규모는 선형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하급수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즉, 한번 앞서간 경쟁자를 따라잡기 위해서는 엄청난 자원이 필요하다
플랫폼이 성립되면 가능한 빨리 두 개 시장의 참여자 모두를 의미있는 수준의 규모까지 성장시켜야 한다.
- 교차네트워크 효과
플랫폼의 도구와 원칙이 마음에 들면 소비자는 알아서 성장
공급자 규모를 어떻게 불릴 것인가가 중요
경쟁자를 압도할 수 있는 규모에 먼저 도달해야 함
그를 위한 좋은 방법은 내가 가진 가장 좋은 것, 나의 핵심 자산을 나눌 때이다.
--> 즉 초기에는 무료로 도구들을 제공한다거나, 트라이얼, 베타버전을 사용하면서 사용자를 늘리는 것
-> 숨고 : 멘토링을 진행함에 있어서 바로 코인을 결제하거나 포인트를 결제해야지만 볼 수 있음 -> 매력도 하락
6. 플랫폼은 추구가치와 수익의 분리가 필요
플랫폼은 이익을 목적으로 경영할 경우 성립되기 어렵다 (중요!!!!!)
플랫폼이 존재하는 이유는 그 가치에서 기인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플랫폼이 그 가치와 멀어지는 순간 생산자도 소비자도 플랫폼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으려고 할 것이다.
수익창출을 처음부터 요구하면 매력도가 하락
-----> 플랫폼은 이 수수료라는 개념을 자신의 플랫폼 상에서 보이지 않게 만들어야 한다!!!!!
구글 - 검색이라는 고유의 가치,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기능 BUT 수익은 광고 (애드워즈, 애드센스 등)
가치와 수익이 분리되어 있음
페이스북 - 미디어 콘텐츠 제공 BUT 수익은 광고
수익 = 가치 --> 양쪽 시장으로부터 불만이 생기고, 시장 경쟁력 저하